Warning: Cannot modify header information - headers already sent by (output started at /home/webhome/web03/new14/m/bbs/bbsView.html:8) in /home/webhome/web03/new14/board/lib/common.lib.php on line 98

Warning: Cannot modify header information - headers already sent by (output started at /home/webhome/web03/new14/m/bbs/bbsView.html:8) in /home/webhome/web03/new14/board/lib/common.lib.php on line 98

Warning: Cannot modify header information - headers already sent by (output started at /home/webhome/web03/new14/m/bbs/bbsView.html:8) in /home/webhome/web03/new14/board/lib/common.lib.php on line 98
[이광연한의원 이광연 박사] SBS 좋은아침-갱년기 혈관건강(2022년 2월25일)
 
 글쓴이 : 이광연한의원 (115.94.92.18)  lky@lky.lky  
조회 : 663 

[이광연한의원 이광연 박사] SBS 좋은아침-갱년기 혈관건강(2022년 225)

 

여성의 갱년기와 남성의 갱년기는 차이가 있습니다

갱년기가 나타나는 시기가 다른데요먼저여성은 대부분 완경이 되는 시기인 40대 후반부터 여성호르몬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안면홍조 및 열감가슴 두근거림우울감불면증피로수족냉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요남성은 30대 이후 남성호르몬이 매년 1%씩 줄기 시작해 무기력증의욕 상실건망증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그런데 문제는 남성의 경우 갱년기 증상이 여성들처럼 특정한 시기에 나타나는 게 아니라 30대 후반부터 시작돼요그래서 갱년기 증상인지 모르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혈관이 딱딱하면 혈관질환 사망률도 높아지는데요급성 뇌경색으로 입원한 환자를 추적 관찰해보니혈관이 딱딱한 정도를 나타내는 동맥 강직도가 높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사망률이 2배나 높았다고 합니다.

 

남성의 갱년기는 여성의 갱년기보다 뚜렷한 증상이 없어요대부분은 나이가 들어서 피곤하고 성 기능이 떨어졌다고만 생각하고 넘기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런 증상을 내버려 두면 혈액이 탁해지고 노화가 오기 때문에 각종 혈관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당뇨병이 있으면 남성호르몬 수치가 떨어지는데갱년기 때문에 남성호르몬이 줄었다는 생각을 안 하고 당뇨병 탓만 하다가 갱년기 증상을 놓칠 수 있습니다

 

최근 국내 고혈압 환자의 수가 약 1,200만 명을 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요이는 국민 3명 중 1명은 고혈압을 앓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만큼 국민 질병이 됐습니다고혈압 환자가 늘며 고혈압에 관한 인지도는 높아졌지만막상 혈압 관리 수준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는 것이 문제죠.

 

어떤 자세로 혈압을 측정하는지에 따라 혈압 수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리를 꼬는 자세 외에도 의자에 눕듯이 앉는 등의 삐딱한 자세를 취하고 혈압을 재면 혈압이 높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다리를 꼬면 한쪽 발바닥만 바닥에 닿아있고눕듯이 앉으면 발꿈치 부분만 바닥에 닿게 되잖아요혈압을 잴 때는 양 발바닥 전체를 바닥에 붙여야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팔이 심장보다 높게 위치하면 실제 혈압보다 낮게심장보다 낮게 위치하면 실제 혈압보다 높게 나올 수 있습니다그래서 혈압을 잴 때는 되도록 심장과 팔의 위치가 일직선이 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오른팔왼팔 혈압이 큰 차이가 없습니다혈압을 처음 재는 분이라면 양쪽 혈압을 모두 확인해 보는 것이 좋은데요둘 중 혈압이 더 높은 쪽이 내 혈압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그런데 만약 오른팔왼팔 혈압이 수축기 혈압 기준으로 20mmHg 이상 차이가 난다면 혈관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갱년기 증상의 가장 대표적인 것이 안면홍조죠오메가3는 항염 작용과 함께 신경 호르몬의 전달을 촉진시켜서 안면홍조와 식은땀이 나는 증상이 나아질 수 있습니다갱년기에는 골다공증 위험이 커지는데오메가3가 칼슘의 흡수를 돕고 뼈를 만드는 조골세포 생성을 자극해 뼈 건강에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오메가3는 혈관질환의 위험으로부터 우리 몸을 지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데요오메가섭취와 심혈관질환 위험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오메가3를 섭취하면 관상동맥으로 인한 심장질환 사망률이 35% 감소했다고 합니다.

(*출처 미국 의사협회저널, 2006)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오메가3와 뇌졸중에 관한 연구를 했는데요

한 그룹은 월 1또 다른 그룹은 주 5회 섭취하게 했더니오메가3를 주 5회 섭취한 그룹의 뇌졸중 위험이 58% 감소했다고 합니다.

(*출처 미국의사협회저널 2001)

 

오메가3를 추출할 때는 온도가 중요한데요. 50도의 낮은 온도에서 추출하는 초임계 추출법을 사용한 오메가3를 고르는 게 좋습니다. 140~160도로 끓여서 추출하는 기존 오메가3의 고온 추출법은 영양 손실이 크고산패가 잘 돼서 발암물질로 변질될 위험성이 있다는 것이 단점인데요하지만 50도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추출하는 초임계 추출법은 원료가 손상되거나산패 위험이 적은 편입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