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Cannot modify header information - headers already sent by (output started at /home/webhome/web03/new14/m/bbs/bbsView.html:8) in /home/webhome/web03/new14/board/lib/common.lib.php on line 98

Warning: Cannot modify header information - headers already sent by (output started at /home/webhome/web03/new14/m/bbs/bbsView.html:8) in /home/webhome/web03/new14/board/lib/common.lib.php on line 98

Warning: Cannot modify header information - headers already sent by (output started at /home/webhome/web03/new14/m/bbs/bbsView.html:8) in /home/webhome/web03/new14/board/lib/common.lib.php on line 98
[KBS1라디오] 건강플러스 - 변비
 
 글쓴이 : 이광연한의원 (115.94.92.18)  lky@lky.lky  
조회 : 7580 

변비--KBS1라디오

 

평소에 건강하기 위한 3대 요소가 있다면, 바로 잘 먹고고, 잘 자고, 잘 배설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의외로 배변의 어려움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배설하는 것의 문제인 변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옛날부터 대변은 건강의 바로미터라고 하는데요. 어떤 대변 상태가 좋은 건가요?

 

옛날임금건강을 책임지던 전의, 임금님께서 대변을 보면, 대변냄새, 형태, 심지어는 까지 보면서 임금님 건강상태점검했었는데, 그만큼 대변은 그 사람건강 평가하는 중요 지표가 되기때문이죠.

 

대변으로 건강진단하는 중요한 기준, 형태인데, 건강 대변황갈색으로, 바나나 모양이고, 지도 지도 않아서 , 부드럽게 배변이 되고, 한번보는 양은 약 250g적당합니다.

 

2.그러면 원장님 의학적으로 변비를 어떻게 정의 합니까?

 

의학적으로는 변비기준, 배변회수 1주일 2회 이하이고, 마다 배변을 하더라도 배변하기가 들거나, 배변후에 잔변감이 있는 경우를 변비라고 합니다.

 

그러나 어떤 들은, 23한 번 보는 것이 습관이 되어서, 전혀 불편하지 않는데도, 변비냐고 물어보는 경우가 있으신데요, 대변을 매일 보지는 않더라도, 배변 시 고통이 없고, 배변 후에 잔변감이 없이 시원하다면, 정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전인구의 10% 정도가 변비, 그 중에서도 여성남성보다 4 정도 많고, 특히 어르신들은 20%이상변비입니다.

3.한의학에서 변비도 여러 종류가 있다고 들었는데요?

 

한의학에서는 변비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누는데

(1) 열비==熱秘 , 이 많아서, 대변으로부터 수분을 과도하게 흡수하기 때문에, 대변 단단해지면서 변비가 생기는 경우입니다==熱秘

 

(2) 허비==虛秘 , 기운부족해서 운동을 못해서 생기는 변비

 

4. 지금까지는 한의학적 분류고 현대적인 분류 방법은 어떻습니까?

 

습관성 변비 ==가장 일반적변비, 대변을 보고싶은 생각 참아발생하는 변비인데, 대변을 보고싶은 변의를 참으면, 변의사라지게 되는데, 이것이 반복되면 습관적으로 변비가 됩니다.

 

경련성 변비==스트레스긴장으로 자율신경 비정상적으로 긴장함으로써, 장 경련이 일어나서, 으로 나가지 못해서 발생합니다.

 

이완성 변비==대장 운동해서, 항문으로 밀어내지 못하고, 장 속에 담고 있는 상태인데 , 어르신이나 ,오래 누워지내는 환자분, 허약 체질 대장 기능저하된 사람들에게 발생합니다.

 

5. 변비를 예방하려면 어떤 생활습관을 가져야 할까요?

 

식생활변화시켜야 하는데, 부드러운 음식을 적게 드시고, 가능하면 섬유질이 많이 든 야채, 과일, 나물류, 현미, 잡곡밥 등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섬유소는 마치 스펀지와 같아서, 대장에서 수분노폐물, 그리고 각종 유해균흡착하게 되는데, 그런것들을 잔뜩 머금은 섬유소로 인해서, 대변증가되고, 대변통과 속도도 빨라져서, 변비예방되는 것입니다.

 

, 규칙적으로 하루 세 끼 식사를 하고, 특히 아침식사는 꼭 하시고, 기상 후 냉수우유 한잔으로 잠자는 대장을 깨워주는 것도 좋고, 하신 어르신들은 하루, 유산균 요구르트한 개 이상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6. 또다른 사항은 없습니까?

 

변비있는 분들을 보면, 필요 수분량보다 적게 수분을 섭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분섭취제한해야 하는 질병이 없는 한, 평소에 을 많이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하루 1.5리터 이상 8

 

바른 배변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대변을 보고 싶으면, 참지 말고 언제라도 화장실을 가시는 것이 좋고, 배변시왼쪽아랫배 으로 지긋이 문질러서, 대장이 자극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7, 섬유소가 많으면서 변비에 도움이 되는 식품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 고구마, 사과, 알로에

 

고구마==영국 역사상 가장 강력한 왕권을 휘두른 헨리 8, 결혼이혼을 여러 번 거치면서 ,여섯 명아내를 둘 정도로 정력적이었는데, 고구마를 아주 즐겼다고 합니다,

 

고구마에펙틴이라는 섬유질풍부하기 때문에, 변비 예방에 가장 좋은 식품입니다. 특히 날고구마를 잘라보면, 하얀 진이 나오는데, 이 세라핀대장에서 윤활유 기능을 하기 때문에, 통변촉진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고구마 껍질섬유질세라핀이 많기 때문에, 껍질째 드시는 것이 더욱 효과적입니다.

 

사과==‘하루 사과 한 개면 의사가 필요 없다영국속담이 있고, 아침에 먹는 사과 , 점심 때 먹으면 , 저녁에 먹으면 청동이란 말처럼, 아침사과 배변에 아주 유익한데, 사과식물성 섬유질 펙틴, 소화기관운동 촉진시켜서, 변비소화불량개선시킵니다. 이러한 펙틴은, 사과껍질에 매우 풍부하기 때문에 껍질째 매일 아침사과 1개를 갈아서 공복에 드시면 좋습니다

 

8, 알로에나 당귀도 노인성 변비에 좋다면서요?

 

알로에아프리카 희망봉 원산지이고,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영양분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 중 하나입니다.

알로에식이섬유풍부하고, 점액질이 많기 때문에 원활배변도와 주는데, 알로에 가시제거하고 껍질째 갈아서, 을 타서, 마시면 대변을 시원히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알로에성질 기 때문에, 찬 냉성 체질이신 어르신, 신중을 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당귀차==어르신이나 특히 허약하신 분들의 변비에는 당귀차가 좋습니다. 한의원을 지나다보면 독특하면서도 톡 쏘는 듯한 진한 냄새가 나는데, 냄새정체가 바로 당귀입니다. 향기가 얼마나 좋은지, 선조들은 설날 아침 차례를 올리기 위해서 당귀 삶 목욕을 하여 좋은 향기가 나도록 했다고 합니다. 당귀성질따뜻하고, 혈액순환촉진하며, 식물성 정유성분들이 많이 들어있어서, 부드럽게 해서, 대변을 잘 보게 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식이섬유가 높은 미역 다시마 해조류검정콩, 콩류과일 채소등을 충분히 섭취하는 식습관

 

9,원기를 북돋우면서 변비에도 좋은 죽이 있다면서요? - 소자, 욱리인, 호도죽

 

변비에는 식물씨앗이 좋은데요. 식물씨앗에는 정유성분이 많기때문에 대장을 부드럽게 하고, 대장연동운동촉진시켜줍니다, 한약재 중에는 복숭아씨=도인, 살구씨=행인, 소자, 욱리인 등이 변비도움이 되고, , , 호도 등도 정유성분이 많아서 변비 해소시키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10, 변비에 좋은 죽을 만드는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욱리인, 호도 각각 20g, 70g

을 씻어서 30정도 불리시고, 거기에 욱리인 호도믹서기에 넣고 갈아서, 냄비재료들을 넣으시고, 중간 불로 서서히 끓이시면 됩니다. 이 잘 퍼지면 참기름 한스푼, 소금으로 을 맞춰서 드시면 됩니다.==변비뿐만 아니라, 원기회복간식으로도 좋습니다.

 

11. 변비해소 내장 맛사지 법이 있다면서요?

 

변비가 있을 때, 대장주행 노선대마사지 해주면 대장연동운동 촉진됩니다, 따라서 으로 배꼽 주변대장 주행방향인 시계방향으로 맛사지를 해주면 좋은데, 특히 왼쪽 아랫배에는 직장이 있기 때문에, 더욱 하게 마사지를 해주시는 것이 배변에 좋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