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집 한방 주치의
--------------------------------------------------------------
한의학박사 이광연원장
# 안면신경마비
MC<우리집 한방 주치의> 시간입니다. 날씨가 추워지면 입이 안면이 한쪽으로 비틀어지는 ‘안면신경마비’ 환자가 늘어난다고 하죠? 한의학에서는 어떻게 치료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한의학박사 이광연 원장, 연결합니다. 안녕하십니까?
Q1‘구안와사’라고도 하고, ‘와사풍’이라고 하는 ‘안면신경마비’...한의학에서는 안면신경마비의 원인을 어떻게 보나요?
안면신경마비, 구안와사(口眼喎斜),와사풍 다 같은 말인데요. 말 그대로 안면이 한쪽으로 돌아가는 질환입니다.
안면신경마비는, 연령적으로 보면 연세드신 어르신들게 많이 발생하지만, 요즈음은 젊은 사람들이나 ,어린아이들, 임신부에게서도 잘 발생할 정도로, 성별이나 연령에 무관하게 발생하고, 환절기나 겨울철에 많이 발생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얼굴을 지배하는 경락인 수태양 소장경, 수양명대장경, 족양명위경처럼, 양의 기운을 가진 경락들이 얼굴에 분포되어 있는데, 풍, 한, 습의 나뿐 기운들이 얼굴 경락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또는 몸의 기와 혈이 부족 할때, 안면신경마비가 나타나게 됩니다.
찬 바람을 계속 한쪽으로 쐬거나, 추운 곳에 얼굴을 대고 있어서 발생되는 경우가 풍한사외습이고, 정신적 충격이나 장기간의 스트레스로 인해서 발생된 경우가 간기울결이고, 인체의 체력이 약해져서, 면역력이 저하되서 발생하는 안면신경마비를 기혈허약으로 볼 수 있습니다.
Q2. 주로 어떤 증상이 나타납니까?
사람의 얼굴에는 약 80개 정도의 근육이 있고 ,이 근육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서, 약 7000여 종류의 표정을 짓게 되는데, 안면신경마비가오면 얼굴의 표정을 잘 지을 수 없죠,
입술을 다물거나, 휘파람을 풀 수 없고, 음식이나 물이 ,마비된 쪽으로 흐르기도 하고, 음식을 씹을 때마다 마비된 쪽으로 음식물이 고여서 씹기도 불편하고, 눈을 완전히 감을 수가 없고, 혀앞쪽 미각이 없어지기도 한다
Q3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면서요?
뇌쪽에 문제가 있어서 생기는 안면신경마비를 중추성이라고 하고, 뇌와 상관없이 생기는 안면신경마비를 말초성이라고 합니다.
중추성은, 뇌출혈이나 뇌경색과 같은 뇌질환이나, 뇌의 외상으로 인해서 안면신경이 마비된 경우로, 전체 안면신경마비 환자의 약 10% 미만입니다.
말초성은, 뇌 이외의 부위에서 안면신경이 장애를 받아서 마비가 된 경우로 , 얼굴 외에는 증상이 없고 젊은사람에게 많고, 치료예후도 좋은 편입니다. 안면신경마비 환자의 90%이상이 말초성이고, 그 중에서도 바이러스가 침범되어서 발병하는, 벨마비가 대부분을 차지갑자기 입이 돌아가면, ‘이러다 중풍 오는 것은 아닐까’라고 걱정을 하게 되는데, 물론 중풍이 오면 입이 돌아갈 수 있지만 , 입이 돌아갔다고 해서, 모두 중풍은 아닙니다, 대부분의 구안와사는 중풍과 무관하죠
얼굴의 변화뿐만 아니라, 언어가 어둔해지고, 팔․다리 한쪽이 힘이 없고, 잘 걷지 못하면 , 중풍을 의심해야하겠지만, 단지 다른 증세가 없이 얼굴 한쪽만 마비가 온다면, 중풍이 아니니까 걱정을 안하셔도 됩니다.
Q4가끔씩, 눈꺼풀이 파르르 떨릴 때, 있잖아요? 이것도 구안와사와 관련이 있을까요?
말씀하신 대로 눈꺼풀이나, 혹은 입주위가 파르르 떨리는 증세로도 걱정스러워서 한의원을 찾으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러한 증상은 안면경련이라고 하고, 구안와사와는 다른 증상입니다.
한의학에서는 안면경련도 일종의 ‘풍(風)’으로 보는데, 이때 말하는 풍(風)은, 중풍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바람이 나뭇잎을 흔들리게 하는 자연 현상과 같이, 사람에게도 바람의 기운이 들어와서, 근육을 흔들리게 한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대개 눈이나 입이 떨리면, ‘혹시 중풍이 오는 것은 아닌가?’ 라고 걱정하게 되는데, 안면경련은 중풍과 무관하니까, 크게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안면경련은, 혈관이 안면신경을 누르거나 , 자극에 의해서 발생하고, 몸속에 마그네슘이 부족하거나, 신경과다, 만성피로, 잠을 충분하게 자지 못했을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Q5. 한의학에서는 이런 경우... 어떻게 치료합니까?
- 치료방법.
(1) 한약요법===한의학에서는 ,인체가 허약한 틈을 타서 풍사(風邪)와 한사(寒邪)가 침범하여, 구안와사가 발생한다고 인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발병때는, 인체의 원기를 붇돋아줘서 , 풍사(風邪)와 한사(寒邪)를 인체 밖으로 내보내고, 얼굴의 기운을 소통시키는, 한약을 처방하는데, 그 대표 처방이 오약순기산입니다.
♣ 오약순기산 : 마황, 진피, 오약 각6g, 천궁, 백지, 백강잠, 지각, 길경 각4g, 건강 2g, 감초 1.2g, 생강 3조각, 대추 2개
(2),침치료요법 ===인당, 지창, 협거, 인중
- 안면신경마비는 ,무엇보다도 처음치료가 중요한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1년 이상이 지난 안면신경마비는 상당한 노력과 인내가 필요한데요
근육은 수축과 이완운동을 지속적으로 해야하는데 , 마비가 오래 지속되면, 근육이 점차 위축되면서, 근력도 저하되어서, 근육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치료를 오랫동안 하셔야합니다
Q6찬바람을 많이 쐬거나, 찬데 누워서 자면 구안와사가 올 수 있다는 이야기를 많이 하잖아요? 실제로 그렇습니까?
차가운 돌 같은데에 한쪽얼굴을 대고 잠이 들거나, 운전하시는 기사님들 중에는 찬 바람이나, 에어컨을 얼굴 한쪽으로만 쏘인뒤에 ,입이 돌아간 분들이 있는데요. 근육은, 인체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존재하면서 좌우 근육의 장력이 같은데, 찬바람을 한쪽으로 계속 맞으면, 한쪽 근육의 장력이 무너져서, 구안와사가 생길수 잇습니다==새총비유
Q7주변에, 구안와사를 치료했는데... 재발했다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또, 증상이 심하지는 않아도, 불편감이 얼굴에 남아 있다는 경우도 있고요?
재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오른쪽 구안와사로 침치료를 받으시고, 몇 년 후에 같은 쪽으로 증상이 오는 분도 있고, 다른 쪽으로 구안와사가 오는 분도 계십니다.
감기에 결려서 치료를 잘 받고, 완치가 된 뒤에, 언제든지 다시 감기에 걸릴수 있는 것처럼, 안면신경마비도 재발할 수 있습니다
Q8얼굴 마사지나, 안면 근육 운동이...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얼굴 마사지===안면 신경마비환자는, 얼굴을 자주 자극하는 것이 좋은데 아침, 저녁으로 세수를 한 뒤 뜨거운 물수건으로, 찜질을 해주고 , 오일이나 마사지 크림을 바르고난 뒤에, 네 손가락 지문부위로 안면신경이 마비된 쪽을 마사지를 해줍니다.
**안면근육 운동==입을 크게 벌려서 또박또박 ‘아, 에, 이, 오, 우’ 발음=발성연습 처럼, 얼굴을 찡그려다가 웃는 얼굴, 마비된 쪽 치아로 껌을 씹기.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 외출, 잠잘 때는 안대를 착용한다.
** 스트레스 관리.
구안와사는 계절이나 연령에 상관없이 누구에게나 발병할 수 있습니다. 많은 환자분께서 구안와사가 발병하기 전 정신적 스트레스가 심했다고 말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도한 스트레스에 노출될 경우, 면역력이 떨어지고, 기혈순환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서, 구안와사가 잘 발생하게 됩니다.
구안와사의 예방법으로는, 환절기에 찬바람을 직접적으로 얼굴에 쐬거나, 과로나 피로, 스트레스를 피해서 면역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고 , 충분한 휴식과 균형 있는 식사를 하는 것이, 구안와사를 예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mc<우리집 한방 주치의> 한의학박사 이광연 원장과 함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