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Cannot modify header information - headers already sent by (output started at /home/webhome/web03/new14/m/bbs/bbsView.html:8) in /home/webhome/web03/new14/board/lib/common.lib.php on line 98

Warning: Cannot modify header information - headers already sent by (output started at /home/webhome/web03/new14/m/bbs/bbsView.html:8) in /home/webhome/web03/new14/board/lib/common.lib.php on line 98

Warning: Cannot modify header information - headers already sent by (output started at /home/webhome/web03/new14/m/bbs/bbsView.html:8) in /home/webhome/web03/new14/board/lib/common.lib.php on line 98
[KBS1라디오] 건강플러스 - 부항요법
 
 글쓴이 : 이광연한의원 (115.94.92.18)  lky@lky.lky  
조회 : 7481 

부항====KBS라디오

 

간혹 대중목욕탕에서 목욕을 하다보면 목이나 어깨에 멍이 든 것처럼 붉은 부항자국이 남은 분들을 보기도 하죠. , 요즈음은 부항기를 집에다 사다놓고 자가로 치료를 하는 분들도 많이 늘었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부항도 엄연한 의료행위기 때문에 여러 가지 주의가 필요할 것 같은데요. 오늘은 부항요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원장님 요즈음 부항을 하는 분들이 의외로 많다면서요?

 

그렇습니다. 요즈음 부항에 대한 관심이 아주 많죠. 그래서 한의원에서 치료목적으로 부항을 하는 경우도 많지만, 집안에서 건강목적으로 부항을 하는 분들도 의외로 많이 늘어난 것 같은데요,

 

간혹 환자분들 중에는 한의원치료 받으러 오셔서, 어디가 아픈데 부항을 어떻게 해야되냐고 물어보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2, 부항요법이란 것이 아주 오래전부터 시술된 치료법이라고 알고 있는데 부항의 기원은 어떻게 되나요?

 

부항한자풀이는, (), 항아리 항()자로, 항아리처럼 생긴 것을 ,피부에 직접 붙여서 음압 하는 치료법인데요.

 

옛날 동양에서는, 대나무를 사용하다가, 점차 발전하면서, 도자기 유리로 만들다가, 오늘날처럼 간편하게 플라스틱으로 발전해왔습니다

 

3, 그런데 제가 알기로 이 부항요법이 동양에서만 행해졌던 요법이 아니라면서요

 

그렇습니다. 부항하면 동양에만 있었던 치료법이라고 생각을 할 수 있는데 그렇지는 않습니다, 서양에서도 히포크라테스시대에 ,이미 부항치료가 있었고 그리스, 로마,중세에서도 부항요법이 아주 널리 시행 되었습니다

 

, 미국의 인디언은 물소뿔로, 아프리카 원주민들은 짐승의 뿔로서 부항요법을 했기때문에 흡각요법이라고도 부르기도합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나폴레옹은 평소에 위통이 심하면 환부에 물소뿔 부항을 했고, 그 당시 유럽 상류 사회에서는, 피로 회복과 회춘을 위해서 부항이 널리 애용되었습니다,==영화 마농의 샘에서 소배랑역을 맡은 이브몽땅이 부항을 하는 장면도 나오죠

 

4. 동서양을 막론하고 이렇게 부항요법이 광범위하게 시행이 된 까닭은 그만큼 효과가 좋기 때문일 것인데 그러면 구체적으로 부항요법의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부항요법은, 피부에 음압(陰壓)을 작용시켜서 비생리적 체액인 어혈을 제거하고, 또 혈액의 가스교환을 활성화시켜서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고,

 

혈액의 순환을 향상시켜서, 세포의 영양공급을 도와서 질병을 치료하는 원리

 

5. 그러면 구체적으로 어떠할 때 부항요법이 좋은가요?

 

발목을 삐거나 타박으로 인해서, 근육이나 관절에 통증이 있는 경우, 근육이 단단하게 뭉쳐져서 통증이 있는 경우 쥐가 날 때, 소화불량, 만성피로, 불면증 , 비만치료==치료범위가 아주 넓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6. 부위별로 부항하는 곳이 다를 것 같은데요. 어깨나 허리 근육이 뭉쳤을 때 부항하는 법이 있을까요?

 

-승모근, 기립근, 대둔근, 비복근

 

공부, 컴퓨터, 운전을 할때, 을 앞으로 숙이고 있을때 가장 먼저 스트레스를 받는 근육이 바로 승모근

 

승모근이란, 뒤통수에서 어깨, 까지 넓게 퍼져 있는 근육으로, 스님들이 바랑을 메었을 때 , 닿는 부위라고 해서 중승자 덮을모자를 써서, 승모근이라고 이름

 

승모근중에, 배낭을 멜 때 멜빵이 어깨에 닿는 부위인견정이란 경혈부항을 하셔도 좋고, 아니면 승모근 중에 특별히 경직부위 부항을 하셔도 좋습니다

 

앉아서 운전을 오래하시는 분들의 경우에는 엉덩이에 있는 대둔근, 하루종일 서있어야 하는 직업을 가진 요리사나 판매직에 계신 분들은 , 허리를 받쳐주는 척추기립근과, 허벅지의 대퇴사두근, 종아리의 비복근에 통증이 많이 생깁니다

 

척추기립근은 , 척추 양측 3~5cm 주위를 따라서 대칭적 으로 분포되어있고,

대퇴사두근==앞쪽 허벅지 근육,

비복근==장단지 근육

 

경결점 위주로

 

7. 평소에도 많은 분들이 등을 따라서 부항을 하는 경우가 많던데요. 실제로 이런 부항이 건강에 많은 도움을 준다면서요?

 

뒷목에서부터 등을 따라서 허리로 이어지는 경락중에 독맥과 방광경이 있는데, 이 독맥은 척추를 따라서 직선으로 뻗어있고, 척추양옆 3cm==1방광경과 , 6cm==2방광경이 있는데, 이 방광경에는 배수혈이라고 해서, 내장과 서로 연결되는 경혈들이 분포되어있습니다.

 

장기 연결되어있는 배수경혈자극을 해주면, 내장기능활성화되고 ,인체정기(正氣) 향상되어서, 건강증진 질병예방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건강유지하는데 아주 많은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가정에서, 건강 목적으로 부항을 하신다면, 등 뒤에 있는 방광경 배수혈 부항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8. 그러면 부항은 어떤 체질에 가장 효과가 좋은가요?

 

부항은, 체내의 노폐물 배출과,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역할이 뛰어나기 때문에. 사상체질 중에서는 몸에 습담이나 어혈이 잘 생기고, 순환 장애가 잘 생기면서 또한 체중이 늘어나기도 쉬운 체질인, 태음인에게 부항이 가장 효과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

 

9, 그러면 평소에 부항을 하면서 주의해야할 사항이나 하면 안되는 분들도 있나요?

 

부항요법을 할 때, 처음부터 과다하게 자극을 주지 말고 강도를 조금씩 높여가는 것이 좋고, 평소 심장질환이나 소모성 질환 등을 앓고 있거나, 지극히 허약한 분들에게는 ,시술 후 어지럽거나, 답답함· 심한 피로감 등의 증상을 호소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 합니다.

 

혈소판수치가 떨어져서 지혈이 잘 안되거나, 당뇨 등의 이유로 상처가 잘 낫지 않는 경우도 부항들은 신중

 

특히 주의해야할 것은 일반 대중 목욕탕에서 실시하는 부항경우비위생적

 

10. 부항은 피를 뽑아야 제대로 된 부항이라고 하던데 그것이 사실인가요.

 

피부으로 자극한 뒤 부항기를 붙여서 를 뽑아내는 방식을 자락법, 습식 부항이라고 하고,

부항기를 그냥 피부에 붙이는 방식을 건식 부항, 유관법 이라고 합니다.

 

많은 분들이 피를 빼는 부항만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시는데, 이는 잘못된 상식입니다. 피를 뽑지 않는 건식부항의 원리를 보면, 표피는 혈액을 통과시키지는 않지만, 기체는 통과시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부항으로 음압을 주게 되면, 압력차에 의해서 가스 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체액을 깨끗하게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피를 뽑는 자락법 염좌, 타박상을 입었거나, 질병이 오래되어서 어혈성으로 한 경우에 효과가 좋고,

 

일반 건강 부항의 경우는 사혈을 하지 않은 마른 부항을 하셔도 좋습니다

 

11. 부항을 했더니 부항에 거품이 일어나는 경우를 봤습니다. 왜 그런 현상이 나타나는 건가요?

 

간혹, 부항을 하면 끓어오르는 것처럼 거품이 나는 것을 보고, 원장님 제 거품이 있는 것 같아요라고 하면서, 환자분들이 걱정하시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 부항안에 거품의 실체는 부항컵안의 기압이 낮아져서 , 외부의 공기가 부항컵과 피부사이로 들어가서 생성된 것이지, 혈액에 문제가 있어서 생기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12. 피를 뽑는 습식 부항을 했더니 검은 피가 나오고, 끈적끈적하게 보여서 걱정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피는 공기 중에 나오면 응고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상처가 났을 때 피가 멈추지 않겠죠? 부항기 안에도 기압이 낮기는 하지만 공기가 있고, 피부와 부항사이로 들어간 공기 때문에, 피가 나오고 시간이 흐르면서 공기와 접촉하기 때문에, 피가 응고하게 됩니다.

 

간혹 환자분들이 그런 증상을 보고, 몸에 그런 굳은 피가 있는 것 아니냐고 하시는데, 실제로 그렇다면 심장이나 뇌에 있는 혈관이 막혀서 큰 질환이 되겠죠. 따라서, 피를 뽑는 부항을 했을 때, 피가 많이 굳어보인다고 해서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13. 부항을 하고 나온 피가 끈적끈적해 보인다고 특별히 걱정할 필요는 없겠군요. 부항을 너무 세게 해서 수포가 생기기도 하던데요.

 

부항을 너무 세게 하거나 장시간 하게 되면, 피부에 수포가 생기기 쉽습니다. 사실 이런 방법도 발포요법이라고 해서 치료로도 이용을 하고 있기는 하지만, 피부에 수포가 생겨서 상처가 나면 많이 불편하죠,

 

피부 하지 않기 위해서는, 부항 붙일 부위로션이나 크림을 바르고, 붙이는 시간5~10 정도가 적당합니다. ==피부한 사람들은 자주 물집이 잡힌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