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허 증세 ==KBS1라디오
일교차가 큰 봄철 환절기에는 유난히 나른하기도 하고 몸이 무겁기도 하며, 아무것도 하기 싫어지는 분들이 많다. 몸에 무슨 문제가 있는지 검사를 받아봐도 특별한 이상이 없다고 한다. 이런 증상을 한의학에서는 기가 떨어졌다는 기허증세로 판단을 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요즈음에 많이 나타나는 기허 증세들을 한방에서는 어떻게 인식하고 해결방법은 없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1, 원장님 요즈음에 나타나는 이런 증상들을 한방에서는 어떻게 정의합니까?
요즈음 ,흔히들 피곤하고, 식욕도 떨어지고 , 나른하면서 손 하나 까딱하기 싫다는 분들이 많은데 ,이런 증상들은 한의학에서는, 기허증세라고 부릅니다.
한의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면, 사람이 건강하기 위해서는 기와 혈이 서로 충만하고, 조화를 잘 이루어야 한다고 보는데, 동의보감에서는 기(氣)가 바람이라면, 혈(血)을 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비유하자면, 바람이 파도를 일으키는 것처럼, 기가 왕성하고 충분해서 잘 통하게 되면, 혈도 역시 잘 움직이고 순환이 잘 돼서 ,건강한 몸을 가질 수 있다고 본 겁니다.
2.한의학에서는 기허와 관련된 장부는 어떤 것이 있다고 설명합니까?
한의학에서는 기와 관련된 장부는 주로 심(心), 폐(肺), 비(脾)장 이라고 설명할수니다.
심기허(心氣虛)인 경우, 가슴이 두근거리고 답답하고, 숨이 차고, 괜히 불안하고 초조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폐기허(肺氣虛)인 경우 ,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흐르고, 쉽게 숨이 차고, 감기에 잘 걸리고. 또 기관지가 약하고, 가래가 많고, 얼굴이 창백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비기허(脾氣虛)인 경우는, 전신이 무기력해지면서, 소화기능이 떨어지고, 식욕이 없고, 헛배가 부르고, 팔다리에 힘이 없게 됩니다.
3. 그럼 기가 허해지면 구체적으로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기허로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육체적인 증상과 정신적인 증상이 모두 나타는데, 흔히 머리에서 발끝까지 모두 다 나타납니다. 쉽게 피로하고, 아침에 일어나기도 힘들고, 온 몸이 무기력해지고, 나른해지며, 항상 졸리고 의욕이 저하됩니다.
식욕이 저하되고, 소화도 안되고, 설사가 나기도 하고 ,속이 더부룩하고, 불쾌하기도 합니다,
말도 하기가 싫고, 말소리에 힘도 없고, 가슴이 뛰고, 안정이 안되면서 얼굴이 달아오르는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4, 그러면 이러한 기허증상은 어떠한 사람들에게 잘 나타납니까?
이런 불편한 증상은, 평소에 신경이 예민한 사람, 소화기가 약하거나, 쉽게 피로를 느끼는 사람, 저혈압, 빈혈을 가진 사람들과 만성적인 질환이나, 선천적인 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5. 이렇게 기허증세가 있을 때는 어떻게 생활을 해야 할까요?
정신적인 스트레스는, 기를 상하게 하는 주요원인이기 때문에, 자신만의 스트레스 해소법을 찾아서, 스트레스가 쌓이지 않도록 하시는 것이 좋고, 하루 세끼를 규칙적으로 드시고 , 양질의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을 충분히, 고루 섭취합니다.
기상과 취침을 일정시간에 하시고, 숙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흡연, 음주, 과다한 카페인 섭취는 하지 않는 것이 좋고,
같은 자세로 오래 있으면, 몸에 피로 물질이 쉽게 정체되기 때문에, 자주 스트레칭을 해서, 혈액순환을 잘되게 하고, 몸 구석구석에 신선한 산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6. 그럼 기가 허할 때는 어떤 음식이 도움이 될까요?
한의학에서는 ,생명활동의 근간인 기의 생성과정을, 기생어곡(氣生於穀)이라하여, 매일 섭취하는 음식물로부터 기(氣)가 생긴다고 하였습니다.
식초==15세기에 서유럽 탐험가들이, 신항로를 개척하기 위서 오랫동안 바다를 항해하면서도, 건강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식초에 절인, 채소를 즐겨 먹은 까닭입니다.
식초의 유기산은, 몸의 피로를 유발하는 젖산을 분해시켜주기 때문에, 피로회복에 큰 도움이 되고, 위와 장의 운동을 촉진시켜주기 때문에 식욕을 증진시켜줍니다
매실차==매실에는 구연산이 풍부해서, 피로와 갈증을 풀어주고, 새콤한 맛은 위장을 튼튼히 하고 식욕도 증진시켜주며,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매실은 정장작용과 살균작용도 있어서 장에도 좋습니다
참깨 ==『동의보감』에서는 ‘참깨를 과로가 심한 경우에 먹으면, 오장을 보하고 기력을 도우며,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뇌를 충실히 한다.’고 했습니다. 참깨에는 , 질 좋은 단백질과 피로회복을 돕는 비타민 E, 비타민 B1, B2가 풍부합니다.
7. 또 기운을 북돋는 한방 차요법은 어떤 것이 있나요?
① 인삼 ,대추, 오미자차
인삼은 원기를 크게 보한다(大補元氣)하여 보약의 대명사로 사용되어 왔는데, 원기를 북돋워주고 진액을 생성시켜 주는 효능이 탁월합니다, 인삼의 사포닌은, 모세혈관의 확장과 혈류 개선을 도와주기 때문에, 피로회복에도 좋고, 신체의 방어력을 높여서 질병에 대한 면역기능을 강화시켜줍니다.
대추는 진액을 만들어 주기 때문에, 혈을 보하고, 피로회복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한방 신경 안정제라 할 수 있을 정도로, 마음을 안정시켜주는 효능이 탁월합니다.
오미자는, 비타민 A, C가 풍부해서 기운을 붇돋아줄 뿐만 아니라 ,피로회복에 도움이 되고, 중추신경을 각성시킴으로써, 뇌에 활력을 불어넣고 , 일의 능률을 높여줍니다.
인삼 세뿌리, 대추 20개를 물 3000CC == 1시간 30분간 달여==물의 양이 반절정도로 줄어들면==오미자 10g을 넣어서 10시간 우려내서 삼일 정도 수시로 나누어
8.기허 증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압요법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기허로 나타나는 증세의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경혈지압 요법은, 방광경상에 있는 배수혈(背兪穴)인데,
등뼈 좌우로 3cm 정도 되는 부위를 ,목덜미부터 엉덩이 있는 아래 쪽으로 계속 눌러 내려가는 방법=제1방광경
등뼈 좌우로 6cm=제2방광경
이 원리는, 인체의 등쪽에 분포되어 있는 오장육부(五臟六腑)의 반응점인 배수혈에 자극을 줌으로써, 이상이 있는 내장(內臟)의 기능을 조율할 수 있기 때문에, 기허증세로 불편한 몸을 회복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9, 기가 허할 때 기를 채워줄 수 있는 한방처방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보중익기탕이 가장 대표적인 처방인데요, 말 그대로 인체에서 생명 활동에 필수적인, 음식물의 소화작용을 관장하는, 가장 중요한 중초를 보하고 , 저하된 기를 끌어 올린다는 처방입니다,
그래서 옛날부터 보중익기탕을 처방 중에 처방, 즉 왕중왕의 처방이라 해서, 일면 '의왕탕(醫王湯)'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 보중익기탕 : 황기 8g, 인삼, 백출, 당귀, 진피 각 6g, 시호, 승마, 감초 각 2g
황기와 인삼은 기를 보하는 대표적인 한약재고, 당귀는 혈을 보하는 대표적인 약재며 ,진피와 시호 승마는 기를 돌게 하면서 끌어올려주는 약재니까 ,약물의 조화가 아주 잘된 처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기허(氣虛) 증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