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의 건강관리
일시: 2008년 6월 26일
대상: 메이필드 회원
강사: 이광연 원장
경희대 한의대 외래교수
한의학 박사
이광연한의원 원장
1. WHO(세계보건기구)가 정의한 건강의 의미
▶ WHO는 건강에 대해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physical, mental, social well-being)」으로 정의함.
▶ 무병장수는 단지 육체적 안녕에 해당될 뿐임.
▶ 즉 육체적으로 건강해도 노이로제나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지 못해 사회적으로 고립된다면 진정한 의미의 건강이라고 볼 수 없다는 의미임.
2. 기질성 질환 vs 기능성 질환
▶ 기질성 질환
해부학적인 이상이 있는 경우, 암, 골절, 디스크 등
▶ 기능성질환
명확한 해부학적인 이상이 없는 경우, 과민성대장증후군, 스트레스, 불면증 등
▶ 현대에는 점점 기능성 질환이 늘어가는 추세
▶ 스트레스와 정신적면이 질병에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
3. 건강한 수명연장
▶ 규칙적이고 꾸준한 운동 ? 4년
▶ 고혈압,당뇨,콜레스테롤관리 ? 5년
▶ 금연 (담배1개피 ? 20분 수명단축) ? 4~5년
▶ 금주 (적당한 술 ? 1일 포도주 1잔) ? 3~4년
▶ 야채와 과일 ? 3년
▶ 소식 - 평균수명 7% 연장
4. 우리나라 사망원인
남녀
전체 |
(인구100만명당 사망자수 / 10대 사망원인 중 사망률) |
2006년기준 |
순위 |
전체 |
사망자수 |
사망률(%) |
1 |
악성신생물(암)Malignant neoplasm |
65 909 |
39 |
2 |
뇌혈관질환Cerebrovascular diseases |
30 036 |
18 |
3 |
심장질환Heart diseases |
20 282 |
12 |
4 |
당뇨병Diabetes mellitus |
11 600 |
7 |
5 |
자살Intentional self-harm |
10 688 |
6 |
6 |
운수사고Transport accidents |
7 822 |
5 |
7 |
간질환Diseases of liver |
7 624 |
4 |
8 |
만성하기도질환Chronic lower respiratory diseases |
7 070 |
4 |
9 |
고혈압성질환Hypertensive diseases |
4 623 |
3 |
10 |
폐렴Pneumonia |
4 603 |
2 |
5. 남성 사망원인
남자 |
|
|
|
순위 |
전체 |
사망자수 |
사망률 |
1 |
악성신생물(암)Malignant neoplasm |
42080 |
42 |
2 |
뇌혈관질환Cerebrovascular diseases |
14510 |
14 |
3 |
심장질환Heart diseases |
10299 |
10 |
4 |
자살Intentional self-harm |
7249 |
7 |
5 |
간질환Diseases of liver |
6156 |
6 |
6 |
당뇨병Diabetes mellitus |
5823 |
6 |
7 |
운수사고Transport accidents |
5716 |
5 |
8 |
만성하기도질환Chronic lower respiratory diseases |
4470 |
4 |
9 |
폐렴Pneumonia |
2376 |
3 |
10 |
추락사고Falls |
2056 |
2 |
6. 여성사망원인
여자 |
|
|
|
순위 |
전체 |
사망자수 |
사망률 |
1 |
악성신생물(암)Malignant neoplasm |
23829 |
34.1 |
2 |
뇌혈관질환Cerebrovascular diseases |
15526 |
22.2 |
3 |
심장질환Heart diseases |
9983 |
14.3 |
4 |
당뇨병Diabetes mellitus |
5777 |
8.3 |
5 |
자살Intentional self-harm |
3439 |
4.9 |
6 |
고혈압성질환Hypertensive diseases |
3020 |
4.3 |
7 |
만성하기도질환Chronic lower respiratory diseases |
2600 |
3.7 |
8 |
폐렴Pneumonia |
2227 |
3.2 |
9 |
운수사고Transport accidents |
2106 |
3 |
10 |
간질환Diseases of liver |
1468 |
2.1 |
8. 암예방법
▶ 국립 암센터에서 발표한 12가지 암 예방책
–균형잡힌 영양을 섭취할 것
–매일매일 변화있는 식생활을 할 것
–술은 적절히 마실 것
–담배를 피우지 말 것
–탄 음식을 피할 것
–곰팡이가 핀 음식을 주의할 것
–과식을 피하고 지방을 적게 섭취할 것
–몸을 청결하게 유지할 것
–햇볕을 너무 많이 쬐지 말 것
–적절하게 운동을 할 것
–비타민과 섬유질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섭취할 것
–짠 음식은 적게 먹고 너무 뜨거운 것은 식혀서 먹을 것
9. 운동의 장점
① 건강 증진을 통한 성인병 예방
② 순환계 질환의 예방
③ 면역기능을 개선시킨다.
④ 피로 회복을 촉진시킨다.
⑤ 스트레스 해소
⑥ 노화 방지와 젊음의 유지
10. 스트레스란
▶ 만병의 근원
▶ 죽음의 초대장
▶ 스트레스(Stress)
– ‘팽팽하게 죄다’ 라는 라틴어 ‘Stringer’로 부터 유래
– 육체적 , 정신적 자극에 대하여 체내에서 일어나는 비특이적인 생물학적 반응
11. 스트레스의 기전
▶ 적당한 스트레스
•엔돌핀 à 모르핀보다 더 강한 진통작용
•삶의 원동력 à 업무효율 향상
▶ 심한스트레스
•노르아드레날린 / 교감신경항진
호흡, 혈압,맥박 상승, 근골격수축, 피곤
•뇌혈관 질환 및 심장질환 위험성 증가
▶ 장기간스트레스
•코티졸 (스테로이드)
-> 면역기능 저하, 질병 노출 - 면역세포 파괴
▶ 자율신경계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길항적으로 작용하여 몸의 항상성을 유지.
•교감신경은 위기상황(공포, 불안, 긴장, 운동 등)에 대처하기에 알맞은 상태로 만들어 주고 부교감신경은 이를 본래의 상태(평안, 행복, 휴식 등)로 풀어주는 쪽으로 작용한다.
신경 |
심장박동 |
혈관 |
혈압 |
호흡운동 |
침분비 |
소화관운동 |
땀분비 |
교감신경 |
촉진 |
수축 |
상승 |
촉진 |
억제 |
억제 |
촉진 |
부교감신경 |
억제 |
이완 |
저하 |
억제 |
촉진 |
촉진 |
억제 |
12. 스트레스 극복방법
▶ 긍정적인 태도와 사고
•다른 사람들도 우리와 똑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
▶ 많이 웃자
•엔돌핀 증가
•산소흡입량 증가
▶ 규칙적인 운동
•하루에 40분~1시간씩
▶ 이완요법
•스트레스는 모든 장기를 수축
•얼굴지압
•어깨, 팔 스트레칭
•가부좌 – 명상, 복식호흡
•모세혈관 운동
13. 스트레스 극복 음식
▶ 비타민C가 풍부한 신선한 과일과 야채
•비타민 C - 항스트레스 비타민
•해독작용
•세포조직 재생
•브로콜리, 감, 귤, 오렌지, 레몬, 사과, 토마토, 시금치
▶ 죽순
•티로신 - 마음을 안정
•죽순 된장국
▶ 식초
•피곤하면 젖산이 체내에 축적
•피로물질인 젖산을 배출
•미역채, 파래무침, 일상생활에서 식초
▶ 칼슘이 많이 든 음식
- 신경의 흥분과 초조함을 진정시키는 효과
-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 불면 등에 큰 도움
- 칼슘이 부족하면 신경질을 잘내고 불안, 초조를 호소함
- 우유, 멸치, 미역, 다시마, 뱅어포, 표고버섯
- 칼슘이 우리 몸에 유익하게 작용하려면 비타민 D
- 비타민D의 주된 기능은, 장에서 칼슘의 흡수를 돕고, 혈액 안에서 칼슘과 인을 조절
- 표고버섯, 우유, 두유, 무우말랭이
14. 스트레스 녹여주는 약차
▶ 대추차
•정신적인 긴장을 풀어줌
•사포닌 - 체력 보강
▶ 녹차
•카페인 - 뇌신경 활성
•비타민C - 레몬의 5배
15. 스트레스 해소 지압법
① 백회(百會)
- 백가지 경맥(經脈)이 모이는 곳, / 인체 에너지의 최고점
② 태양 (太陽)
- 큰 양기(太陽)가 모여 있다는 뜻 / 편두통이 심하거나 어지럼증이 있을 때
③ 합곡(合谷)
– 뼈가 합쳐져서 계곡을 이루는 모양 / 에너지가 솟구쳐 흘러간다는 의미
④ 용천(湧泉)
– 인체에서 물이 솟아 나오는 샘 / 의욕과 생기를 도움`
16. 스트레스를 잘받는 사람
▶ 성격상
– 완벽주의자
– 신경질적인 사람
– 예민한 사람
– 꼼꼼한 사람
– 경쟁심이 강한 사람
17. 만성피로증후군이란?
▶ 피로란?
•육체적, 정신적으로 일을 과도하게 하여 육체적, 정신적으로 지치거나 탈진한 상태로 기운이 없고, 쉽게 지치며, 기력이 없어지고, 다른 일에 무관심해지는 경우
▶ 운동이나식사후또는주말을보내고난후에오는피로
•정상적인 피로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나면 자동으로 풀리게 됨.
▶ 그러나 충분한 휴식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피로감을 느끼며, 이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면 이를 만성피로라고 합니다.
▶ 간단히 할 수 있는 만성피로 해소법
1.마음을 편하게 갖고, 명상을 합니다.
2.스트레칭과 심호흡을 자주 합니다.
3.균형있는 식사를 합니다.
4.미온욕을 합니다.
5.숙면을 취하도록 합니다.
6. 꾸준한 운동
▶ 만성피로 증후군에 도움이 되는 식품
①인삼
•보약의 대명사
•혈액순환 촉진, 골수 생성, 면역력 증강, 원기 회복
•사포닌의 작용
②참깨
•『동의보감』-거승
– ‘참깨를 과로가 심한 경우에 사용하면, 오장을 보하고 기력을 도우며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뇌를 충실히 한다.’고 했습니다.
•비타민 E, 비타민 B1, B2, 철분이 풍부
•피로회복, 빈혈예방, 기억력 증진
③식초
•호박산, 사과산, 주석산 등 60종 이상의 유기산
•유기산
–몸의 피로를 유발하는 젖산을 분해
–항산화작용
–영양가가 파괴를 막아줌
•크레이브스 사이클 순환(노폐물의 배설작용)에 도움
18. 만성피로를풀어주는좋은처방
▶ 십전대보탕
–십전대보탕은 몸을 보(補)하는 10가지 약재로 구성.
–기혈(氣血)과 오장육부가 모두 허약해진 일체의 증상을 회복.
–해당 증상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나기 힘들다.
입이 깔깔해서 밥맛이 없다.
앉기만 하면 꾸벅꾸벅 존다.
앉았다 일어날 때 눈앞이 어질어질하다.
팔다리에 힘이 없다.
♧ 처방 - 인삼, 백출, 백복령, 감초, 숙지황, 백작약, 천궁, 당귀 각5g, 황기, 육계 각4g, 대추 2개, 생강 3쪽
19. 일자목과 항강증의 원인
1.목을 앞으로 숙이거나 빼고 있는 컴퓨터 사용자, 운전자
2.목을 숙이고 공부하는 학생
3.너무 높은 베개를 사용하거나 베개를 뒤통수에 베고 자는 습관
4.운전 중 접촉 사고
5.체육시간에 구르기를 하다가 일시적인 충격으로 목 근육이 긴장
20. 일자목 증상
1.뒷목이 뻣뻣하고 당기는 느낌이 있다
2.고개를 좌우로 돌리기 힘들다
3.만성 두통이나 통증이 심하여 불면증까지 온다.
21. 건강검진에 대하여
▶ 편작의 일화
–“우리 집에 형제가 셋이 있는데, 그 중에 큰 형님이 가장 뛰어나고, 다음으론 둘째 형님이 뛰어나고 저는 그들 중 가장 못합니다.
–큰형은 큰의사(大醫)여서 사람들이 병이 나기 전에 미리 그 병을 알아 치료를 합니다. 사람들은 자신이 아프지 않았기에 병이 난 줄조차 모릅니다.
–둘째 형은 중간의사(中醫)여서 사람들이 병이 나면 바로 알아채고 병을 치료해 줍니다. 그렇기에 사람들은 조금 아플 때 병을 고치므로 작은 의사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실력이 가장 낮아 병이 깊어지기 전에는 쉽게 알아채지를 못합니다. 그래서 병이 깊어져서야 치료를 하니, 사람들은 제가 큰 병을 고치는 의사라 하여 명의(名醫)라고 부릅니다만, 사실은 제가 이들 중 제일 낮은 실력을 가진 의사입니다.“
–한의학의 역사에 등장하는 의성(醫聖) 편작이 한 이야기입니다.
22. 소화불량과 급체의 지압법
▶ 사관(四關)
○ 중완 : 배꼽과 명치의 가운데
○ 합곡 : 엄지, 검지손가락이 갈라지는 곳
○ 족삼리 : 무릎 뼈를 같은 손으로 감싸 가운데 손가락이 닿는 곳
○ 태충 : 첫째, 둘째발가락이 갈라지는 곳